본문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강원대 강릉원주대

by 아연2749 2023. 12. 3.
반응형
SMALL

 

 

강원대 KANGWON NATIONAL UNIVERSITY@homepage

 

1. 글로컬대학 30 사업

* 2026년까지 수도권 이외 지역에 자리한 30개 대학을 선정해서 "5년에 1천억"의 세금을 지원

* 대학 통합의 경우 최대 1,500억 원 지원

* 2023년 10월 10개 팀 (14개 대학) 우선 선정

* 2024년 10개, 2025년과 2026년 각 5개 선정 예정

 

2. 강원지역 선정 대학

* 로그인 사태 이후 포스팅 맥락은커녕 스피릿도 잃었습니다. 다시 기운 차려 글로컬대학 30 사업 2023 우선 선정 대학 10개 팀 14개 대학을 마무리하겠습니다.

 

* 강원 지역에서는 강원대 및 강릉원주대와 한림대 두 개 팀, 3개 대학이 선정되었습니다. 완전 서울 사람 아연 주인장만 강릉원주대의 존재 자체를 몰랐던 것은 아니기 바랍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정리해야 할  '국립대학들' 아직 많을 거라 확신하게 됩니다.  학생들은 대학 진학과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 국립강릉원주대학교는 학교 명칭처럼 강릉과 원주에 캠퍼스를 두고 있습니다강릉캠퍼스는 1946년 설립된 강릉사범대학을원주 캠퍼스는 1967년 설립된 원주간호고등기술학교를 모태로 합니다. 2007년에 두 학교가 통합되었는데결국 이번 사업을 계기로 강원대로 흡수됩니다.

 

 

3. 강원대 + 강릉원주대

* 강원대 역시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평가 및 계열 평가 한국 대학 TOP 20에 잘 등장하지 않는 학교이지만 THE 2024 평가 결과 세계 1500위 이내에 포함되는 대학입니다. * 같은 순위권에 조선대, 충북대, 한림대, 인천대, 제주대, 부경대, 서울과학기술대, 순천향대, 숭실대 등이 포함됩니다.

 

THE2024 평가 강원대

 

* THE의 대학 평가 기준으로 보면 강원대는 어느 하나 절반 이상의 평점을 얻은 항목이 없습니다. 같은 순위권의 여러 대학들도 비슷한 수준일 거라 생각되니 한숨 나옵니다. 

 

* 강원대는 지역 중점대학이지만 산업성(수입 및 특허) 부문에서도 47점 수준으로 낮은 편입니다. 교육, 연구 환경, 국제성 모두 25점 미만이고, 역시 한국 대학의 특징대로 이런 조건에서도 연구의 질적 측면은 상대적으로 높은 32점을 획득했습니다. 개혁과 개선이 절실한 상황 맞습니다.

 

* 이런 강원대가 강릉원주대와 2026년 통합합니다. 강원대의 글로컬대학 30 계획안은 "1도 1 국립대"를 내세우는 전형적인 대학 통합 구조 조정안입니다.  강원대는 이미 춘천, 삼척, 도계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데 강릉과 원주도 접수하고, 명실상부한 강원도의 대학이 되는 구조입니다. 부동산 확장 및 건물 공사로만 그치는 사업이 아니길 바랍니다. 

 

* 강원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세계 100위권 학문 분야 10개 확보, 온라인 과정생 및 외국인 유학생 1만 명 유치, 지역 기여도 및 영향력 전국 1위 달성을 목표로 내세웁니다. THE2024 세계 대학 TOP 100에 포함되는 한국 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카이스트뿐입니다. 겨우 5년 안에 10개 분야에서 한국 TOP3 대학 수준을 달성하겠다니 과합니다. 어쨌든 통합으로 대학 입학 정원은 2023학년 6,283명 수준에서 2040년 5,000명 수준으로 감축되고, 강원 지역 학생 비율은 같은 기간 44%에서 65%까지 늘어납니다.

 

반응형

 

@ 각 캠퍼스별 발전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글로컬대학 30 사업이 지역 - 산업 - 학계의 연계 강화 목적이기 때문에 강원도의 주력 산업의 발전 가능성과 양상을 살피면서 진학 방향을 참고하는 것도 좋습니다. 

1) 교육연구 거점 춘천캠퍼스

* 정밀 의료, 바이오헬스, 데이터 산업 등 지역 산업 특화, 녹색기술의 한계를 넘어서는 청색기술연구센터를 신설해 친환경 첨단 기술을 주도

2) 지학연협력 거점 강릉캠퍼스

* 학연플랫폼센터 신설, 신소재, 해양 생명, 천연물바이오, 관광 등 지역 산업 특화

3) 산학협력 거점 원주캠퍼스

* 디지털 헬스케어, E-모빌리티, 반도체 등 지역 산업 연계

4) 지역 산업 거점 삼척캠퍼스

* 액화수소, 고령 맞춤 기술, 재난 방재의 특화

5) 이외 남은 도계 캠퍼스

* 도계대학도시 구축, 집중교육센터 신설 및 단기 유학, 집체교육 공간 활용

 

@ 정부는 이미 디지털헬스케어·데이터 분석, 천연물 바이오소재 등 바이오헬스산업과 세라믹 신소재, 차세대 고성능 센서 등을 강원지역 주력산업으로 선정했습니다. 

 

* 국가혁신클러스터와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디지털헬스케어(IT기반 원격진료) 사업의 경우 향후 강원 지역에 10개 지구를 추가 지정할 계획입니다. 강원 지역은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등의 인프라를 이미 갖추고 있으며 KIST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등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신약 소재로 천연물이 각광받고 있는 만큼 향후 강원도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답니다. 특히 디지털헬스케어를 통해 생성된 빅데이터의 분석 및 활용 산업화는 이번에 강원지역 특화사업으로 새롭게 선정됐습니다.

 

* 천연물 소재산업, 세라믹 원료소재산업 역시 강원 지역 특화형 주력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부는 강릉시에 천연물 등 지역 청정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특화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고, 강릉과학산업단지 등 일반산업단지 4개소와 농공단지 2개소의 분양은 완료 단계랍니다.

 

* 또한 강원도는 2025년까지 3조 1600억 원 규모를 투입해서 24개 산업 단지를 추가 조성할 계획인데, 산업 단지 조성을 ‘강원형 뉴딜사업’과 연계합니다. 춘천, 원주, 강릉에 바이오·의료기기 중점 산업단지, 이뮨메드 도시첨단산업단지, 원주 부론 디지털헬스케어 국가산업단지, 비철금속특화 일반산업단지 등을 조성합니다. 화천군에도 국방개혁 2.0에 대응하여 지역 경제력·지역 특수성 강화를 위해 군수산업 특화농공단을 2025년까지 완공할 예정입니다.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아시아 최고 대학  (203) 2024.01.09
글로컬대학 30 한림대  (206) 2023.12.07
글로컬대학 30 충북대 한국교통대  (126) 2023.11.19
글로컬대학 30 전북대  (101) 2023.11.17
글로컬대학 30 포항공대 POSTECH  (115) 2023.11.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