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남미 의대 아프리카 의대 한국 의사국시 응시

by 아연2749 2023. 8. 27.
반응형
SMALL

 

르완다대학 University of Rwanda @homepage

 

1. 한국 의사국시 응시 가능 외국 의대 

졸업 후 한국에서 의사가 될 수 있는 해외 의대들을 살펴보고 있습니다. 정춘숙 국회의원의 공개 자료를 보도한 내용을 정리해서 지역별 의대를 소개합니다. 이제 중남미 및 아프리카 지역에 자리한 의대 가운데 한국 보건복지부 장관의 인정을 받은 학교들을 소개합니다. 다양한 국가의 의대를 인정한 한국 보건복지부 장관의 포용성에 감탄하게 됩니다. 

 

2. 중남미 지역 의대 

중남미 지역 국가 가운데 가장 많은 의대를 인정받은 나라는 아르헨티나입니다. 아르헨티나의 아래 4개 의대 졸업자는 한국에서 의사가 될 수 있습니다. 

* Universidad De Buenos Aires 

* Universidad del Salvador 

* Universidad Favaloro 

* Universidad de Cordoba 

 

 

그 외 파라과이, 볼리비아, 브라질,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 등 국가의 7개 의대도 한국 보건복지부 장관의 인정을 받았습니다. 중남미 지역 7개국 11개 의대 졸업자는 한국의 의사국시에 응시할 수 있고 도미니카를 제외하고 한국 의사고시 합격률이 50%를 넘는 점도 놀랍습니다. 

 

파라과이 Universidad Nacional De Asuncion
Universidad Catolica Nuestra Senora de la Asuncion
볼리비아 Universidad Catolica Boliviana
브라질 Faculdade de Medicina do ABC
그레나다 St. George's University
니카라과 Universidad Americana
도미니카 Ros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 아프리카 지역 의대 

아프리카 지역 국가 가운데 가장 많은 의대를 인정받은 나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입니다. 남아공의 아래 3개 의대를 졸업하면 한국에서 의사가 될 수 있습니다.  역대 2명의 졸업자가 한국 의사고시에 응시해서 100% 합격률을 보인 점 역시 놀랍습니다. 

한국 의사국시 응시 가능 남아공 의대

이외에 한국 보건복지부장관은 아래와 같이 르완다와 에티오피아의 1개 의대를 각각 인정했습니다. 이렇게 중남미와 아프리카 지역 10개국 16개 의대가 졸업 후 한국 의사국시에 응시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인정을 받았습니다. 

 

@ 르완다 

* University of Rwanda

@ 에티오피아 

* Addis Ababa University 

 

반응형

 

앞서 소개한 북미와 유럽 18개국 89개 의대, 그리고 오세아니아와 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10개국 54개 의대를 종합하면 총 38개국 159개 의대를 졸업하면 한국에서 의사가 될 수 있습니다.

 

반복하지만 개인적으로 어느 의대를 나오든 한국 의사국시 수준이 확실하다면 합격자들의 수준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번 관련 보도 등을 통해 두 가지 문제는 분명하게 드러났다고 봅니다. 

 

우선 "의대 진학"만의 전략적 목적으로 유학 대상국이 되는 국가들이 존재하는 현실입니다. 물론 이러한 국가의 경우 전체 한국 유학생 가운데 전공만 살짝 살펴봐도 알 수 있습니다.  특정 국가의 의대 몇 개만 재점검해도 사실 국민들의 불안이나 한국 의대 출신자들의 불만을 다소 낮출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한국 의사국시 수준에 대한 의심이 생겨난 점입니다. 한국 의대 졸업한 한국 의사들이 외국 의대 졸업자들의 국시 참여를 반대하는 이유와 명분의 근간에는 "실력, 수준, 평가" 등에 관한 불확실성과 우려 때문일 겁니다. 한국 의사국시가 의사들의 실력을 제대로 검증하고 걸러내는 역할을 못한다고 스스로 주장하는 듯해서 오히려 그동안 '의심'조차 않고 있던 국민들도 이제 이 문제에 신경을 쓰게 된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보건복지부 장관의 인정 기준과 절차, 재점검 방식 등에 대한 공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분명하고 납득 및 동의 가능한 기준이 반드시 있었어야 한다고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