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외 합작 대학

by 아연2749 2023. 6. 24.
반응형
SMALL

 

 

宁波诺丁汉大学 University of Nottingham Ningbo China 닝보노팅엄대학 @sohu 宁诺商学院

 

 

* 중국 관련 포스팅을 하다 보면 항상 마주치게 되는 댓글들이 "싫다" "두렵다" "몰랐다" 등입니다. 중국인들도 지들 상황을 잘 모르기 때문에 중국에 대해 안다고 자신하는 자들이 대략 이상한 겁니다.  문제는  무엇 때문에 무엇이 싫고 무엇이 두려운 지를 분명하게 따박따박 설명할 수 없지만 그냥 그런 느낌이 든다는 과하게 솔직한 댓글들을 남의 포스팅에 달 수 있는 무지, 무식 및 무례가 이상합니다. 놀랍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폭력적인 언급이 여기서만 일어나는 일들은 아닐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박따박 판단하고 설명할 능력이 있다면 무작정 싫거나 두렵다는 말을 내뱉지도 않습니다. 

 

* 이런 언급은 학교 폭력이나 묻지마 폭력에나 어울리는 어감들입니다. 외국 사람들이 한국과 한국인이 그냥 싫다, 두렵다고 하는 상황에는 벌떼처럼 달려들어 벌컥대면서 자신들이 똑같이 행동하고 있다는 인식은 못합니다.  상대가 싫고 두려운 게 아니라 자신에게 불안감, 낮은 자존감 문제, 즉, 피해의식, 상대적 박탈감 등이 있는 겁니다.  향후 이런 댓글들은 그냥 삭제하고 차단합니다.  

 

 

 

1. 중국 대학의 대외 협력

 

중국의 북경대와 청화대는 학생들 분위기가 매우 다를 정도로 대단한 명문 학교입니다. 하지만 그 외 대학들이 최근 상대적으로 짧은 시기에 세계적 평가 기관들의 인정을 받은 점은 왜?라는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언급했지만 중국 정부가 백년대계 관련 대대적인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경쟁과 성장 발전을 독려하는 추세의 덕분일 겁니다. 이외에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이 바로 맹렬한 외국 대학과의 합작 협력 추세입니다. 

 

2023년 6월 15일 중국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는 총 3,072개 고등교육기관이 존재합니다. 이 중 2,820개가 일반 고등 교육 기관이며 이 수치에는 1,275개의 4년제 대학과 1,545개의 전문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홍콩 마카오 지역 학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소개했듯이 중국은 66% 이상이 공립 대학입니다.  

 

중국에서는 공립 4년제 대학 진학을 "실패"할 경우 전문대나 사립 대학을 진학하게 된다는 인식이 강해서 사립 대학 진학은 좀 자랑스럽지 못한 진학 성과입니다.  사립 대학은 수업료는 비싸고 공립 대학보다 지명도는 낮은 대학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의 사립 대학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바로 합작 학교 설립 때문입니다. 

 

반응형

 

2. 중외 합작 대학 

 

 

Xi'an Jiaotong-liverpool University 西交利物浦大学 서안교통대 - 리버풀대학 @baijiaohao王涛高考志愿划重点

 

 

한국이나 중국이나 학령 인구 감소 문제는 마찬가지로 심각한데 대학들이 대응하는 방식은 이렇게나 차이가 납니다. 중국 대학들은 대대적인 대내외적 협력 노력을 통해 생존 가치를 제고하고 있습니다.  * "합작 合作" 역시 물 건너오면서 쓰임이 달라진 한자입니다. 중국어에서는 "협력"의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지만 한국은 합작 영화 등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협력 방식도 현지 상황에 맞게 다양하지만 대략 누구와, 어떻게 두 가지 방향으로 설명해 봅니다. 중국 대학들은 소위 중국 명문대와 협력 관계를 맺는 것은 물론 홍콩 지역 또는 외국 대학과 적극적 협력을 추진합니다. 또한 중국 대학들은 특별 프로그램을 공동 진행하는 등의 일반적 교류 협력 이외에도  해당 대학의 주요 인기 단과 대학 또는 학부를 협력 운영하거나 아예 독자 법인을 설립해서 별도의 학교를 세워버립니다. 사실 이 덕분에  중국 대학들의 세계적 인지도와 평가가 급상승했다고 봅니다.  

 

이 가운데 중국대학과 외국 대학이 협력하여 세운 학교들을 우선 소개합니다. *홍콩 대학들과 협력한 대학들의 경우 추후에 포스팅 합니다. 

 

중외합작대학 2023

 

이상 7개 중국 대학은 각각 미국, 영국, 이스라엘, 러시아 등과 협력하여 상해와 절강성, 강소성, 광동성 3개 성에 대학을 설립했습니다. * 이 3개 성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이며 경제 사회 문화 자산이 풍부한 중국의 남서부입니다. 위에서 광동성을 언급한 것처럼 이러한 여건에 비해 교육 환경은 개선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중국 북방 지역 유명 대학의 남진과 외국 대학의 협력이 강화되면서 주요 교육 서비스 시장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대학 명칭만으로도  대략 어느 나라 무슨 대학과 협력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광동-이스라엘공대의 경우, 샨터우대학이 이스라엘공대와 합작한 경우입니다. 샨터우, "산두"는 홍콩 최고 갑부로 유명한 이가성(李嘉诚, 리지아쳥, LIJIACHENG)의 고향이며, 이가성의 장학 재단이 고향에 설립한 대학이 바로 샨터우대학입니다. 중국 학생들에게 수업료를 면제해 주는 파격 제안으로 유명한데 아직은 큰 성과를 보이지 않지만 주목할 가치가 있는 학교입니다. 

 

 

이들 지역 이외에 해남도 역시 2022년 12월 독일 대학과 합작하여 대학을 설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해남-빌레펠트 응용과학대학 ( 海南比勒费尔德应用科学大学 , Bielefeld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Hainan)  해남도는 한국인에게 무비자 휴양지이지만 경제 발전과 함께 개발 가능 영역이 아직 무궁무진한 기회의 지역입니다. 각종 외국 사립 초중고의 분교가 설립되는 것은 물론 이렇게 대학도 확충되는 분위기임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법대 법학 전공 최고 대학  (157) 2023.07.08
중국어 연수? 중국어 전공 최고 대학  (187) 2023.07.02
외국 의대 출신 한국 의사?  (117) 2023.06.18
세계 일류 전공 보유 중국 대학  (57) 2023.06.17
2022 중앙일보 대학평가  (108) 2023.06.13

댓글